김종영(金鍾瑛, 1915~1982, 창원)
일본 동경미술학교 조소과를 졸업. 해방 후 서울대 미대 교수로 후진 양성에 힘썼다. 국전에는 초창기부터 활약하여 심사위원을 역임하고 1953년 런던 국제조각대회에 출품한 이래 마닐라 국제전,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국제전에도 참가를 하였다. 1975년 개인전을 가졌고, 작품은 추상조각을 시도하여 조각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김종영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접목하여 주체적인 한국 현대조각을 이룬 조각계의 거장이다. 이 작품은 유기적이고 기하학적인 조각을 추구한 시기의 작품이다. 이 시기 서예의 조형성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거나 자연의 본래 형태를 드러내는 순수 추상작업을 추구하였다. .
작품 67-4_1967
marble_42×26×19㎝
김종영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접목하여 주체적인 한국 현대조각을 이룬 조각계의 거장입니다.
김종영의 조각은 인물과 식물, 산에서 조각의 모티브를 찾아 자연현상에서 구조의 원리와 공간의 미를 경험하고 조형의 기술적 방법을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1960년대 초에는 형태의 단순화가 현격해져 자연 대상으로부터 유추된 유기적 추상과 순수조형의 기하학적 추상을 표현하였습니다. 나무와 잎사귀와 같은 식물, 사람의 얼굴과 인체 등 자연에 실재하는 대상의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유려한 곡선과 기하학적 직선을 만들어냄으로써 엄격한 형태의 구조 원리와 공간을 구축하였습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 ‘불각(不刻)’의 개념, 즉 ‘깎지 않는다는 것’을 추구하였고, 이는 공간의 여백을 허용하는 것으로, 서예의 여백과도 상통하는 개념입니다.
< 작품 67-4>는 유기적이고 기하학적인 조각을 추구하며 자연의 본래 형태를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서예의 조형성을 조각의 입체적 조형, 특히 단순한 형태의 미니멀리즘으로 극대화한 작품입니다. 전체적인 구성이 마치 한 몸을 이룬 생명체처럼 긴밀하고 활발한 형태를 만들어낸 기하학적인 조각으로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진(文學晋, 1924~2019 서울)
문학진은 1950년대부터 아카데믹한 구상 중심의 국전의 성향과 다른 추상 형식을 도입한 1세대 작가이다. 1953~1955년간 연이어 국전 특선을 수상하고, 1958년 제7회 국전에서 <자전거에 부딪힌 운전수>로 문교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작가는 입체파적인 구성을 시도하며, 소녀 등 인물과 정물 등 다양한 소재가 공존하면서도 몽환적이고 은유적인 표현이 특징적이다. 서울대 교수와 예술원 회원을 역임했다.
달, 여인, 의자_1988
Oil on canvas_130.3x130.3cm
문학진은1950년대부터 아카데믹한 구상 중심의 국전에 추상 형식을 도입한1세대 작가입니다.
문학진의 예술은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서정적이고 사실적인 묘사에서 벗어나 인물이나 정물 등 구체적인 대상을 분석해 주관적으로 해체, 변형하고 다시 조합하는 방식의 입체파 구성과 기법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1950년대에서70년대까지는 소녀를 모델로 한 인물화와 화병, 과일, 꽃다발 등의 소재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평온한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이후1980년대로 넘어가면서 어두운 시대 상황을 반영한 듯 검은색이 작품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는 정물이나 기물이 놓인 식탁 등 실내 풍경을 위주로 차분한 색채감과 대상에 대한 간결한 재해석, 그리고 안정감 있는 구도를 특징으로 하는 반추상 형식의 작품 경향을 지속하였습니다.
작품<달, 여인, 의자>는 희미한 존재감을 드러내듯 실루엣의 정물과 여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화면 한쪽 귀퉁이에 드리워진 어둠과 달빛에 의한 잔잔한 빛은 신비로우면서도 적막함이 느껴집니다. 전체적으로 차분한 색채감과 간결한 이미지로 재해석하여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달, 산, 여인_1989
Oil on canvas_112.2x161.5cm
이 작품 역시 1988년 작 <달, 여인, 의자>와 거의 흡사한 표현과 구성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색조와 밝은 빛이 더욱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선명한 대상의 재현보다 대상의 형태를 재구성하여 형상의 배치에 따른 구성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유영국(劉永國, 1916-2002, 울진)
화백은 한국 근대미술의 '전위(avant-garde)'에 서서 추상미술의 영역을 개척했던 선구자이다. 특히, 한국의 자연을 아름다운 색채와 대담한 추상 형태로 빚어낸 최고의 조형감각을 지닌 화가이다. 1935년 도쿄 문화학원에서 미술공부를 하였고, 김환기, 장욱진, 이중섭 등과 교류하였다. 1938년 제2회 자유미술가협회전에서 협회상을 수상했고, 무라이 마사나리, 하세가와 사부로 등 당대 일본의 영향력있는 추상미술작가와 교유하였다. 1943년 귀국하였고, 1955년 서울에서 본격적인 미술활동을 재개하여 신사실파, 모던아트협회, 현대작가초대전, 신상회 등 전위적인 미술단체를 이끌며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유영국미술문화재단 소개 참고)
산_1974
Oil on canvas_135x135cm
유영국은 자연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한국적 추상화의 일가를 이루었습니다.
유영국은 경주 사진을 통해 공간을 압축적으로 클로즈업하여 화강암의 거친 선각과 기하학적 구조를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그에게 사진은 점차 자연주의적 추상화로 진행하는 전환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는 사람과 도시, 노을, 계곡, 언덕, 바다 등의 순수한 조형 요소들로 축약되는 과정을 작품으로 보여주었습니다. 1950년대 무렵 그는 초기의 절대 추상에서 벗어나 자유스러운 형태의 본질을 연구하였습니다. 1960년대부터70년대 전반까지 점, 선, 면, 형, 색 등의 조형 요소들을 통해 실험적 예술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산> 연작들은 산이라는 자연을 화면의 구조 속에 기하학적 대각선 구조로 거듭하여 환원시키고자 하였습니다.
1974년작 <산>은 짙은 파란 하늘 아래 높고 나지막한 산들이 넓게 솟아 있는 풍경을 담은 작품입니다. 검은색에 가까운 산부터 밝은 연두색의 산까지 색채의 다양함이 마치 자연 속 산의 참모습을 드러내는 듯하여 유기적이면서도 조화로움이 느껴집니다. 능선을 따라 표현된 밝은 띠는 산의 웅장함을 더해줍니다.
작품_1973
Oil on canvas_133x133cm
이 작품은 붉은 색조를 위주로 하여 자연의 이미지를 연속적 기하학적 형태들로 묘사하였습니다. 화면 아래쪽에 비교적 넓은 부분에는 산과 같은 형상을 다양한 명도의 채색으로 칠하고 날카로운 선과 부드러운 선이 어우러진 형태의 표현은 강렬하게 느껴집니다. 위쪽에는 보랏빛의 어두운 하늘이 드리워져 자연을 더욱 힘 있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산_1970년대
Oil on canvas_53.5x73cm
이 작품은 화면 가득 산이 겹치듯 능선을 이루며 옆으로 넓게 펼쳐진 모습의 그림입니다. 산봉우리는 회색빛의 암산을 드러내고 녹음 짙은 녹색으로 산허리를 휘감고 있는 듯하며, 산 사이에 대각선으로 꺾이며 흘러내리는 긴 물줄기는 단순한 형태의 산에서 느껴지는 역동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산_1970년대
Oil on canvas_62.5x62cm
이 작품은 산의 형상을 붉은색과 녹색의 강렬한 색채 대비로 표현하였습니다. 화면 아래 붉은 대지에 우뚝 솟은 산과 그 너머로 커다란 초록색 산이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강렬한 원색의 채색 안에는 다시 환한 빛을 받은 부분에 명도의 차이를 두어 산의 이미지를 단순한 기하학적 면으로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습니다.
산_1977
Oil on canvas_53.5x65cm
이 작품은 1974년 작 <산>을 단순화한 듯한 인상을 줍니다. 매우 간결한 선으로 표현한 산은 더욱 팽팽한 긴장감을 느끼게 합니다. 화면 앞쪽의 날카롭게 솟은 산과 그 너머로 부드러운 곡선으로 펼쳐진 산은 대조적이지만 어색하지 않은 자연스러움으로 드러납니다. 마치 산을 관조하듯 대상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