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홈 > 소장품 > 이건희컬렉션

이건희컬렉션

  • 이건희컬렉션
  • 이인성
  • 서동진, 서진달
  • 변종하,이쾌대
  • 김종영,문학진,유영국

이쾌대 (李快大, 1913~1965, 칠곡)
1928년 대구 수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미술 교사로 재직 중이던 화가 장발(張勃)을 사사했다.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였으며, 그해 가을에 제3회전 《조선남녀학생작품전람회》 회화부 2등상을 수상했다. 1934년 도쿄(東京) 데이코쿠(帝國)미술학교에 입학해 나카가와 키겐(中川紀元, 1892~1972)에게 배웠으며 1937년에 졸업하였다. 《하라츠바 양화전》(1935년), 녹포사 공모전(1938년), ‘재(在)도쿄미술협회-백우회(白牛會)’에 참여하고 《이과전(二科展)》에 연 3회 입선했다. 1941년 이중섭, 최재덕, 문학수 등과 함께 ‘조선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광복 후 1946년 조선조형예술동맹 회화부 위원, 조선미술동맹의 서양화부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7년 8월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했고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48년 서울지검에서 운영하던 좌익 인사 사상전향기구 보도연맹에 가담하여 전향하였다.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가 되고, 성북 회화연구소를 열어 김서봉, 김창렬, 심죽자, 전뢰진 등을 배출하였으며 이후 홍익대학교 강사를 역임하며 조선미술동맹에서 활약했다. 9·28 수복 직전 대한민국 국군에 체포되어 부산과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구금되었다가 1953년 남북 포로 교환 때 북한을 택했다. 월북 후 1954년부터 전후 건설성 미술제작소의 미술가, 조선미술가동맹 평양시, 자강도 현역 미술가로 선출되고, 1957년 조선미술가동맹 유화분과 임원에 선임되었다. 1958년 ‘동맹 역사편찬위원회’의 '해방 후 남반부 편집 그룹'의 위원을 역임했다.



 


항구_1960
Oil on canvas_33.5x44.5cm
 

이쾌대는 한국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시대인 일제강점기와6.25전쟁기에 활동하면서 당시 시대적 주제와 정서를 담아낸 예술가입니다. 그는 전통적인 회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향토적인 주제 혹은 민족의 기상을 형상화한 서사적 회화를 추구했습니다. 한국의 전통 복식을 소재로 하거나 동양화의 색채와 선묘의 특징을 살린 묘사법을 구사하는 등 화법의 독자적인 해석과 향토색을 통한 민족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 많은 관심을 둔 화가였습니다.
작품 <항구>는 월북 후 그린 작품으로, 당시 대부분 소박한 일상을 주제로 그린 일련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리얼리즘을 꽃피웠던 그림과 달리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색감이 어우러진 붓 터치로 표현한, 황혼에 물든 하늘 아래 줄지어 정박해 있는 배들의 풍경은 매우 고요한 느낌을 줍니다. 이를 통하여 오롯이 풍경 그 자체로 전해지는 고전적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변종하 (卞鐘夏, 1926~2000, 대구)
대구 계성학교에서 서진달을 사사했다. 만주 신경시립미술원 서양화과에 2학년으로 편입하였다. 1953년에 대구 미국공보원(USIS)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1954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강사를 역임하였다.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특선을 수상하였다. 1955년 수도여사대 미술학과에서 근무하였으며, 1956년 제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1959년에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작품 활동을 하다 1975년에 귀국하였으며, 서울시 문화상과 문화훈장을 받았다. 1975년과 1980년에 개인전(신세계화랑), 1992년 파리 퐁피두센터에서 회고전, 1995년 갤러리현대, 조선일보미술관, 1996년 박영덕화랑에서 전시하였다.



 


오리가 있는 풍경_1976
부조된 패널·천 위에 유채 _85.7x85.7cm
 

변종하는 형식적으로는 신형상주의를 지향하면서도 풍자와 비판, 서정적이면서도 은유적인 독창적 회화를 구축하였습니다.
변종하는 1965년을 전후로 표현주의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주제와 기법을 펼쳐 보입니다. 소재와 기법을 연구하여 요철(凹凸)의 화면 구성과 거기에 스며드는 채색법을 구축해 독특한 조형 어법을 시도하는 방법으로, 회화의 재료와 기법을 확장하고자 했습니다.
특히1970년대에는 두터운 마티에르와 자연과 전통에서 따온 모티브를 작품에 자주 드러냈으며, 극도로 단순화한 형상으로 시적인 표현을 보여준, 현실 비판적인 우화를 그렸습니다. 1980년대에는 ‘서정적 풍경’이라는 주제로 꽃, 새, 나무, 달, 잠자리 등 우리에게 친근한 풍경을 간결하고 소박하게 묘사하여 주목을 받았습니다.
지금 보시는 <오리가 있는 풍경>은 간결한 구성의 화면에 유연한 곡선의 물흐름을 느끼듯 떠 있는 오리가 묘사된 풍경입니다. 오리의 단순화된 형상은 서정적 분위기를 자아내며, 그 속에서 소박하지만 친근함을 찾을 수 있습니다. 바탕 재질의 천이 화면 위로 드러나면서 자연스러운 마티에르 효과가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두 마리 고기_1980
패널에 천, 석고, 유채_50.6×61.3cm
 

이 작품은 화면 속 액자 같은 일정한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 꽃과 함께 두 마리 고기가 있는 모습을 그려냈습니다.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간결한 형태를 묘사했지만 마치 표정 짓는 듯한 물고기의 표현은 동화의 이미지를 연상되며 더욱 친숙한 느낌을 자아냅니다.

 

Today 862 Total 6,191,796